본문 바로가기

JAVA

(39)
형 변환, final 형 변환은 문자열을 정수형 이런 식으로 서로의 타입을 변환시키는 것을 의미String -> int 문자열 -> 정수int -> String 정수 -> 문자열 Integer.parseInt - 정수형으로 변환 public class zzzz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String num = "123"; int n = Integer.parseInt(num); System.out.println(n+100); }}//223 //만약 변환을 안하고 했으면 123100이 출력 됐을거임" " - 문자열로 변환  public class zzzz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..
Set (집합) import java.util.HashSet; - 기능 호출 Set - 집합 / 교집합, 합집합, 차집합 import java.util.Arrays;import java.util.HashSet;public class zzzz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HashSet HI = new HashSet(Arrays.asList("H", "E", "L", "L", "O")); System.out.println(HI); }}//[E, H, L, O] //중복이 허용 안되고 순서가 없어 이렇게 출력됨집합 자료형 특징은중복 허용 x순서없음  *중복 허용이 안되어 중복을 제거하는 용도로 많이 사용됨기능 소개retainAll..
Map (Key, Value) Map (Key, Value) : Key 이용해 Value 값을 얻음기능 소개put - HashMap 안에 데이터를 넣을 수 있다. Map map = new HashMap();//entry 추가 메소드 : putmap.put("student1","손흥민");map.put("student2","이강인");map.put("student3","김민재");키를 중복해서 put 하면 덮어씌워짐 //entry 교체 메소드 : putmap.put("student3","박지성");size - Map의 개수를 알 수 있다.//map의 크기를 알고 싶을때 : sizemap.size();System.out.println("put 한 개수: " + map.size()); //3 remove - 삭제 메소드 key 값을 이용..
ArrayList (리스트) + Generics<> (제네릭스) import java.util.ArrayList; - 기능 호출 ArrayList 입력 방법 2가지 첫 번째ArrayList animal = new ArrayList();두 번째 (Generics)  *이걸로 사용 권장ArrayList animal = new ArrayList(); 안에 타입을 넣어 정확하게 명시 해주는거 참조 타입만 가능단! 타입에 문자열 넣거나 하는 방법은 안됨! 타입에 맞게 해야함 !기능소개add - 리스트 내용을 저장 / 특정 위치에 저장도 가능 import java.util.ArrayList;public class zzzz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ArrayList animal = new ArrayList()..
Array (배열) Array public class zzzz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//[]와 {}를 사용해 배열을 만들 수 있다. int[] num = {1, 2, 3, 4, 5, 6, 7}; String[] day = {"월", "화", "수", "목", "금", "토", "일"}; System.out.println(num); // 이렇게 불러오면 오류남 //값을 불러올려면 아래와 같이 하면 된다 System.out.println(num[0]); System.out.println(day[6]); } } //1 //일
boolean (참, 거짓) boolean - 논리 값을 확인 / 논리 값 출력 / 예) 유튜브 프리미엄 사용자인지 아닌지 확인 public class zzzz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boolean A = true; //A는 true 값이라고 인식해 boolean B = false; //B는 false 값이라고 인식해 boolean C = 10 10; //20이 10보다 크다 System.out.println(A); System.out.println(B); System.out.println(C); System.out.println(D); } } //true //false //true //true
String (문자열) String - 문자열 / 문자열 public class zzzz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String a = "Hello Java"; String b = "Bye Java"; String c = "Hello Java"; } } charAt - 문자열 중 n번째 값에 어떤 문자가 있는지 확인 / 문자열 public class zzzz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String a = "Hello Java"; String b = "Bye Java"; String c = "Hello Java"; System.out.println(a.charAt(0)); //String a의 값인 Hellow Java의 첫번 째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