JAVA (39) 썸네일형 리스트형 유효범위 - 전역변수, 지역변수 변수는 '선언위치' 에 따라 전역변수와 지역변수로 나눠진다. 전역변수(static) - 어느 위치에서든 호출하면 사용이 가능 (클래스 안, 메소드 밖) 지역변수 - 특정구역({ }) 내에서 생성되어 그 구역에서만 사용 보통 전역변수(static)는 고정 값이 확실한 값에 사용 한다. 쉽게 설명 해주는 블로그: https://velog.io/@cyhse7/%EC%A7%80%EC%97%AD%EB%B3%80%EC%88%98-%EC%A0%84%EC%97%AD%EB%B3%80%EC%88%98 클래스, 메소드, for문, 스캐너를 이용한 구구단 출력 import java.util.Scanner;class gugu { int dan; public void setnum(int dan) { this.dan = dan; for (int i = this.dan; i == this.dan; i++) { for (int j = 1; j 너무 구구단만 하는거 같다 .. 클래스 멤버와 변수, 인스턴스 멤버와 변수 멤버 - 구성원이라는 뜻 *변수 *메소드 클래스 멤버 - 클래스 안에 변수와 메소드 객체를 따로 생성하지 않아도 사용 가능 하고 남발시 프로그램 실행 속도에 악영향 클래스 변수 - 변수 앞에 static를 사용하면 클래스 변수가 된다 / 주로 고정 되어 있는 값에 사용 클래스 변수는 인스턴스에서도 호출이 가능하고 클래스에 직접 접근해 호출이 가능하다 그리고 static 클래스 변수를 호출할 때 인스턴스명.변수명 으로 하는게 아니라 클래스명.변수명으로 호출 인스턴스 멤버 - 인스턴스 안에 변수와 메소드 / 주로 자주 변경 되는 값에 사용 클래스 영역에서 선언되어, 객체가 생성 될 때마다 만들어지고 생성되었을 때만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음 인스턴스 변수 - 클래스에서 호출 불가 class Example { .. 객체, 클래스, 인스턴스 클래스 - 객체에 속성과 기능을 넣어줄 설계도를 뜻합니다. 클래스안에는 인스턴스가 가져야하는 속성들(instance fields) 클래스안에는 인스턴스가 가져야하는 기능들(instance methods) 이 있어야 한다. 객체 - 자신 고유의 속성을 가지는 물리적, 추상적인 모든 대상을 일컫는다,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객체라고도 한다. 1. 속성(값, 필드, property, attribute) 2. 기능(메소드, 함수, 액션) 인스턴스 - 클래스에 따라 메모리상에 구현된 실체를 뜻합니다. *대체로 객체와 인스턴스는 혼용해서 사용함 https://gmlwjd9405.github.io/2018/09/17/class-object-instance.html 참고 https://blog.naver.com/PostV.. this this 자신을 의미(Class) 자신의 객체 접근할 때 사용, 주로 클래스 변수와 메소드 변수 이름이 동일할 때 구분하기 위해 사용 예시) class ThisTest { int i = 10; public void a() { int i = 20; System.out.println(i); //값 20 System.out.println(this.i); //값 10 } } public class zzzz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ThisTest test1 = new ThisTest(); test1.a(); } } 설명) 이렇게 this 를 사용하면 자신의 객체에 접근이 가능하다. 심화버전 예시) class Calulator { int left, right; .. Scanner - 입력 Scanner - 입력 import java.utl.Scanner 로 호출 import java.util.Scanner; //improt로 기능 가져오고 public class zzzz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System.out.println("숫자를 입력 해주세요."); //Scanner 변수명 = new Scanner(System.in); 메소드 처음 배우고 구구단으로 응용 public class zzzz { public static void gugudan() { for (int n = 1; n < 10; n++) { System.out.println("구구단 "+ n + "단"); for (int i = 1; i < 10; i++) { System.out.println(n*i); } System.out.println(""); } }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gugudan(); } } 대충 이해한듯 ? for문 예제1 1. for문을 이용해 1~1000까지 3의 배수 합을 구하라 2. 별찍기1 * * * * * 2.1 별찍기2 ***** 2.2 별찍기3 ***** ***** ***** ***** 2.3 별찍기4 ***** **** *** ** * 2.4 별찍기5 * * * * * 2.5 별찍기6 * ** *** **** ***** 추가예정 이전 1 2 3 4 5 다음